프론트
프론트
<aside> 💡 슬랙을 통해 멘토님께 한 주간 물어봤던 문제 혹은 해결 중이거나,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을 정리해주세요!
</aside>
첫번째 질문) 모바일 기반 반응형 디자인을 구현할 때 고려해야할 최소 뷰포트에 대해 궁금합니다. media-query로 370px ~ 450px까지는 모바일 화면, 450px부터는 모바일 화면과 배경을 넣어서 데스크톱에서도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예쁘게 보여주고 싶습니다 (참고: 캠핏) 370px 이하 뷰포트일 때는 flex-direction을 column으로 바꾸는 등 반응형을 만들어두려고 하는데, 더 작은 수치의 뷰포트도 고려해야할까요? (일반적으로 320px이라고 하는데, 320px까지만 문제없이 보여주면 될까요?)
두번째 질문) 삭제 후 로직의 흐름에 대해 궁금합니다. 트레이니 목록을 조회해서 보여주는 화면이 있고, 그중 한명을 선택해서 삭제했을 때, 삭제 후 다시 조회해서 렌더링시켜야 할지, 아니면 삭제 API의 성공 response 받고 누굴 삭제했는지 클라이언트단에서 알고 있으니까 추가 조회없이 갖고 있던 목록에서 한명을 제외하고 보여줄지 고민이 됩니다. 어떤 흐름이 맞을까요?
세번째 질문) 특정 컴포넌트를 리렌더링하는 방식이 state를 변경시키거나, useEffect의 의존성배열에 state를 넣어서 컴포넌트 리렌더링을 유도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특정 컴포넌트 내부에서 props 변경을 감지하지 못해 UI 업데이트가 안되는 경우, 컴포넌트의 Key 속성을 이용해 기존 컴포넌트와 다른 것으로 인식하도록 하여 새로운 컴포넌트를 렌더링하는 방식을 사용해도 되나요? (예시코드 참고)